가용성 영역 (Availability Zones)
- 가용성 리전 내(한국중부, 한국 남부)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영역으로 구성
- 가용성 영역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센터로 구성
- 가용성 영역이 지원되는 Azure 리전에서는 리전당 3개의 가용성 영역을 갖고있음
- 가용성 영역 서비스
- 가용성 영역을 지원하는 서비스는 가용성 영역 내에서 고정된 위치에 있는지, 혹은 자동으로 복제를 지원하는지에 따라서 2가지로 나눌 수 있음
- 영역 서비스
- 영역 중복 서비스
가용성 집합 (Availability Set)
- 가상 머신의 서비스 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장애 도메인(FD)와 업데이트 도메인(UD)로 가상머신을 구성하는 집합
- 가용성 집합 = 데이터 센터
- 장애 도메인 (Fault Domain)과 업데이트 도메인(Update Domain)
- Fault Domain
- 장애발생 시 Fail Over로 데이터 손실 방지 및 최소화
- Fail Over : 컴퓨터 서버, 시스템, 네트워크 등에서 이상이 생겼을때 예비 시슽템으로 자동 전환되는 기능
- 장애가 발생할 경우 데이터 손실을 막기 위한 방식
- 리전간에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경우
- 물리적인 서버 랙 단위로 나뉘어 설정된다.
- 동일 전원과 네트워크 스위치를 사용하는 가상 머신의 집합을 뜻함.
- 결국 하나의 물리적인 랙 단위로 나눈 도메인
- Update Domain
- 동시에 두 개 이상의 업데이트 도메인에 대해서 업데이트 하지 않기 때문에 업데이트 도메인을 분리하면 유지 보수로 인한 호스트 재기동과 같은 상황에서 서비스 유지할 수 있다.
- 한번에 하나의 도메인(가상머신)만 업데이트하고 다른 가상머신은 서비스 가능하도록한다.
- 웹 가용성 집합 , SQL 가용성 집합 처럼 논리적인 구조로 나눈다.
- 업데이트 시 오프라인 상태가 아니더라도 자동적으로 수행
- 업데이트를 위한 방식
- 특정 UD의 펌웨어(물리 장치) 업데이트가 필요할 경우, 그 위에 올라가는 OS 및 서비스 데이터는 다른 UD의 펌웨어로 라이브 마이그레이션되는 것이다.
가용성 & 고가용성
- 가용성 : 서버와 네트워크, 프로그램 등의 정보 시스템을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정도.
- MS에서 말하는 SLA 기준단위는 1년
- SLA(Service Level Agreement) : 서비스 공급자와 사용자 간에 서비스에 대하여 측정지표와 목표 등에 대한 협약서
- 고가용성: 일정 수준 이상의 높은 가용성을 뜻한다.
근접 배치 그룹
- VM간의 네트워크 대기시간을 줄이는 논리적인 그룹화 기능
- 근접 배치 그룹 내에 배치된 VM은 물리적으로 최대한 가깝게 배치됨
- 대기 시간에 민감한 워크워드에 유용
수직 크기 조정 (Scale up and down, 확장성)
- 워크로드의 단일 인스턴스로 전력을 늘리거나 줄이는 프로세스 (스펙을 높이거나 낮추거나)